[출원]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본 교육연구팀의 신동미 교수가 1건의 특허를 출원하였음. [특허출원] -특허 출원 (출원번호: 1020210149367, 출원일: 2021.11.03.): 프로바이오틱스를 함유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2022년 3월 BK21 지속가능 식품영양 교육연구팀 세미나 시리즈 안내
안녕하세요. 4단계 BK21 지속가능 식품영양 교육연구팀입니다. 저희 연구팀이 주관하는 세미나 시리즈의 3월 특강이 3월 31일 목요일 오후 5시에 진행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리며 특강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제: 특허의 기초 및 이해 •강사: 김은혜 변리사 (CJ제일제당, 식품영양학과 09년 졸업)) •일시: 3월 31일 목요일 오후 5시 •진행 방법: ZOOM 화상회의를 이용한 비대면 진행 […]
소화기질환과 장내미생물
https://gie.or.kr/book/?doc=view&n umber=41 소화기내시경학회에서 2021년 04월 11일 발간된 교과서로 최신 연구 성향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대학원 수준의 교과서. 20명의 임상의와 공동으로 신동미 교수는 장내 미생 물의 특징과 질병 관계 및 최신 연구 진행 상황을 저술. 후속 학문세대 양성을 위해 최신 장내 세 균총 분석법의 기술적인 면 또한 포함. 신동미 교수는 ‘식이와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챕터를 저술. […]
Translational Research in Breast Cancer
https://link.springer.com/book/10.1007/978-981-32-9620-6 Translational Breast Cancer Research에 대해서는 “Translational Research in Breast Cancer will help clinicians and scientists to optimize their collabo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common goal of conquering breast cancer”라 소개하고 있음. 즉 본 도서는 유방암 환자 치료를 위한 임상적인 부분, 유방암 연구를 위한 학술적인 부분을 다루고 있으므로 유방암을 공부하고 연구 하는 임상인과 학자들에게 […]
사례로 이해를 돕는 임상영양학
http://gyomoon.com/sub.html?page=book_info&idx=7866 임상영양학은 질환의 원인과 증상 등 발병과정과 이에 따른 생리적·생화학적 변화 및 영양소의 대사적 변화를 이해하고, 영양관리를 통해 질병의 예방, 치료,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학문. 임상영양치료를 통해 식생활 및 생활습관이 개선되어야 의료적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최근 평균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단순한 수명 연장이 아닌 건강한 삶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에 체계적인 영양관리를 통한 […]
2022년 1월 BK21 지속가능 식품영양 교육연구팀 세미나 시리즈 안내
안녕하세요. 4단계 BK21 지속가능 식품영양 교육연구팀이 주관하는 세미나 시리즈의 1월 특강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교수님, 대학원생, 학부생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드리며 특강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세미나 시리즈 (1) 주제: 쇼미더기업가정신: 영양사, 맞춤영양시대의 중심에 우뚝서다 (Show me your entrepreneurship in the era of personalized nutrition) 강사: 박주연 대표 (주식회사 비타믹스) 일시: […]
2021_4단계 BK21 지속가능 식품영양 교육연구팀 자체평가보고서
2021_4단계 BK21 지속가능 식품영양 교육연구팀 자체평가보고서
Effects of in vitro vitamin D treatment on function of T cells and autophagy mechanism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출판일: 2021.5.14 Abstract BACKGROUND/OBJECTIVES Obesity is associated with the impaired regulation of T cells characterized by increased numbers of Th1 and Th17 cells and the dysregulation of vitamin D metabolism. Both obesity and vitamin D have been reported to affect autophagy; however,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itamin D on T […]
The effects of 1,25-dihydroxyvitamin D3 on markers related to the differentiation and maturation of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from control and obese mice
출판일: 2020.07.08 Abstract Vitamin D has been reported to regulate the maturation and function of dendritic cells (DCs). Obesity wa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dysregulation of vitamin D metabolism and malfunction of DC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 vitro 1,25(OH)2D3 treatment (0, 1, or 10 nM) on phenotype and expression of genes […]
Analysis of carotenoids and chlorophylls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green peppers (Capsicum annuum L., var. Dang-jo and Mi-in)
출판일: 20201027 Abstract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carotenoids, chlorophylls, capsaicinoids, capsinoids, tocopherols, polyphenols, flavonoids, free sugars, and organic acids in fresh green peppers (Dang-jo pepper (DJP) and Mi-in pepper (MIP)) and to evaluate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Methods: Eleven kinds of carotenoids and other compounds in green peppers […]